가성비 노트북 구매를 위한 필수 용어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오늘은 노트북을 구매하게 될 때 접하게 될 용어들에 대해 모두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랩탑(노트북)을 구매하려고 제품 사양을 보게되면 1. 운영체제 2. CPU 3. 메인 메모리 (RAM) 4. 저장장치(HDD/SSD) 5. 그래픽 (GPU) 필수로 확인하실 수 있을 텐데요
[1] 운영체제 (Operating System)
먼저 운영체제 (Operating System)는
응용 소프트 웨어와
CPU부터 그래픽까지의 하드웨어 사이에서
원활한 실행과 제어를 위해
제공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로
주로 사용되는 OS 에는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Windows가 점유율이 높으며
개발자의 경우에는 linux,
애플의 경우 맥 os 가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2] CPU (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라고 불리우는 CPU는
컴퓨터 작업을 제어하고 명령을 실행하는 역할을 하는데요
사람의 신체로 비유하면 두뇌와 비슷합니다
이러한 CPU를 만드는 회사는
대표적으로 intel과 amd 라고 할 수 있는데요
각 브랜드의 제품명만 분석할 줄 아셔도 대략적인 성능파악이 가능합니다
2-1 Intel Core CPU 모델 표기법
좀 더 정보를 추가하자면
(1)번에서 i바로 옆에 있는 숫자는 클럭(속도)에 따라 i3/i5/i7/i9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요
i3 → 간단한 웹 검색, 영상 시청, 문서 작업
i5 → 여러 창 가능, 중~고 사양
i7~ → 고사양 프로그램 으로 나누어지며 가격도 i옆 숫자가 클수록 비쌉니다
(4)번 인텔 접미사의 경우 H외에도
* 데스크톱
X → 익스트림 (최고성능)
K → 배수락 해제 (클럭조절가능)
T → 저전력
E → 임베디드
R → Iris Pro i 그래픽 탑재 (내장그래픽)
P → 내장 그래픽 코어 미포함 (6세대 스카이레이크에서 P는 HD Graphics 510 탑재됨을 의미합니다)
* 노트북 / 모바일
X → 익스트림 (최고성능)
E → 임베디드
U → 저전력
M → 저전력, CPU 교체 가능한 PGA 소켓 사용 (U보다 M의 성능이 더 좋습니다)
H → 고성능 그래픽 , BGA 소켓 사용
Q → 쿼드코어 (4코어)
K → 배수락 해제 (클럭 조절 가능)
G → AMD GPU 사용
B → FCBGA1140 소켓 사용 (8세대 일부) 등이 있습니다
2-2 AMD CPU 모델 표기법
intel core의 i가 3/5/7/9로 나누어지는 것처럼 amd ryzen 도 3/5/7/9로 나눌 수 있는데요
분류에 따른 성능 또한 인텔과 비슷하게 적용됩니다
amd의 접미사 종류에도
접미사 없음 → 일반 데스크톱 CPU
B → 비즈니스
E → 저전력 CPU
T → 저전력 APU
P → 모바일 APU
M/MX → 모바일 APU
X → 일반 모델보다 높은 클럭의 CPU
WX → 워크스테이션 CPU
G → 데스크톱용 APU
U → 모바일 APU 등이 있습니다
[3] 메인 메모리 (Ram)
Random Access Memory의 약어인 RAM은 컴퓨터에서 메인 메모리로
컴퓨터 전원이 유지되는 동안
작업하는 모든 일들을 기억하고 꺼내오는 곳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ram 종류에 따른 조금의 차이는 있겠지만
대체로 전원이 꺼지면
기억했던 데이터들은 모두 소멸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휘발성 메모리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휘발 : 액체가 상온에서 기체가 되어 날아 흩어지는 현상)
ram의 종류에도 sram, dram, psram, sdram, ddr sdram 등이 있는데요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메모리는
듀얼 채널을 통해
더 높은 대역폭 확보가 가능한 DDR SDRAM (Double Data Rate Synchronous Dynamix Random Access Memory)의 종류만 사용되고 있습니다
노트북을 구매하게 될 때 ram이라고 하면
8GB, 16GB, 32GB 등의
용량을 가장 먼저 떠오르게 되는데요
이 용량은 현재 실행할 수 있는
공간의 크기로
해석해 볼 수 있는 거 같습니다
(주로 사용 중인 프로그램의
ram 권장 용량이 16gb이라고 한다면
본인이 사용중인 컴퓨터의 ram 용량이
16gb는 갖춰져야
원활하게 할 수 있다는 의미인 거죠)
물론 이 용량이 ram의 직접적인 성능이라고 하긴 어렵지만
cpu와 그래픽이 적절하게 구성되어 있다면
용량이 클수록 빠른 속도의 컴퓨터로 체감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 용도에 따라 적절한 ram 용량은
보통 사무용 컴퓨터(1~2개 창만 띄운 간단한 웹서핑, 문서 작성 용량) → 4GB
일반 컴퓨터 (여러 창을 띄워도 부담스럽지 않음, 중고 사양 게임 가능) → 8GB
영상, 사진 편집이나 고사양 게임부터는 → 16GB부터 적용되고 있습니다
[4] 저장장치 (HDD/SSD)
반면에 저장장치라고 하는 HDD와 SSD는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소멸되지 않고 저장할 수 있는데요 이 둘의 차이점이라면 SSD는 HDD에 비해 크기가 작고 가벼우면서 데이터 입출력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RAM보다는 못하지만 가격은 HDD보다는 비쌉니다
[5] 그래픽카드(VGA)? 그래픽(GPU)?
그래픽카드는 CPU, 램 등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화면으로 볼 수 있게 해 주는데요
그래픽 카드와 그래픽은
비슷한 단어로 보이지만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픽 카드 (Graphics card)
그래픽 (Graphics Processing Unit)
로 표현하는 단어도 다르지만
그래픽 카드는
카드의 성능을 좌우하는 그래픽 칩셋(GPU),
그림 그리는 자리에 해당되는 메모리
높아진 온도를 조절하는 쿨러 등
그래픽에 필요한 부품들이 모여서 완성된 하나의 제품인 반면에
그래픽(GPU)은
그래픽 카드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부품 중 하나인데요
그래픽 카드를 만드는 회사는
여러 곳이 있지만
그래픽 칩셋(GPU)을 제조하는 회사는
NVIDIA와 AMD
딱 2곳 있습니다
2곳만 있는 특별함처럼 nvidia와 amd의 GPU는
그래픽 카드의 성능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부품인데요
마찬가지로 제품명만 해석할 줄 아신다면
대략적인 성능 파악으로
가성비 컴퓨터를 고르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5-1 NVIDIA 그래픽 모델 표기법
5-2 AMD 그래픽 모델 표기법
(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