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노트북 사양보는법 1분 체크

1코딩 2020. 12. 16. 23:49
반응형

노트북 사양보는법 1분 체크


윈도우 자체에서 지원해주는 시스템으로
direct X 진단도구를 이용해서 보는 방법인데요

노트북 사양보는법 에 대한
그 과정을
단계별로 나누어 보았습니다


[ 노트북 사양보는법 1단계 ] 바탕 화면에서 키보드의 윈도우 키와 R키를 동시에 눌러줍니다

[ 노트북 사양보는법 2단계 ] 바로 아래 사진처럼 실행창이 나오는 걸 보실 수 있을 텐데요



[ 노트북 사양보는 법 3단계 ] 열기(O) 옆 빈칸에다가 dxdiag를 입력해서 확인 버튼을 눌러줍니다




이과정이 끝나면
direct x 진단도구라고
화면에 표시되는걸
보실 수 있으실 텐데요





체크되어 있는 부분과 같이
cpu, ram 용량, 디스플레이 (그래픽) 사양을 확인할 수 있어서
노트북 사양보는법 에 대한 내용은 여기서 끝났답니다



[ 노트북 사양보는법 _ 가이드 ]

□ cpu (central processing unit) :
사용자가 컴퓨터에게 명령을 하게 되면
기계 언어 해석부터 그에 맞게 제어하는 역할로
컴퓨터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는데요

제조 회사에는
intel과 amd가 있습니다

( + cpu 모델명 읽는 법 click )


□ ram (random access memory)
먼저 아셔야 되실 부분들이 있는데요

사람과 마찬가지로 컴퓨터는 기억의 연속입니다


3분 전에 먹었던 밥을 우리가 기억할 수 있듯이
컴퓨터도 전원이 유지되는 동안에는
실행되는 모든 부분들을 기억하게 되는데요

이러한 역할을 하는 부품이 ram (주기억장치)입니다



반면에 10년 전에 먹었던 점심밥은
따로 공책 같은 곳에 기록을 해두지 않는 이상
기억이 나지 않을 확률이 높은데요


이때 공책과 같은 역할을 하는 부품이
hdd와 ssd (보조기억장치)입니다



필요한 정보를 찾게 될 때
어딘가에 기록해 놓은 공책을 참고하는 것보다
우리 뇌에서 기억해 주는 것이 훨씬 더 빠르듯이

컴퓨터의 입장에서도 hdd나 ssd보다
ram에서 꺼내는것이 훨씬 빠르기 때문에

쾌적한 작업이 필요하신 분이라면
ram 용량을 넉넉히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대신 비싼 게 흠이지만요..)


└ ram 용량에 따른 체감 성능

4gb : 단일 창으로 가능한 가벼운 프로그램, 문서작업, 웹서핑, 영상 시청
8gb : 여러 창을 띄어도 부담스럽지 않는 용량
16gb : 고사양 게임 가능 용량
32gb : 고사양 게임 + 영상편집이 가능할 수 있는 용량



□ 마지막으로 그래픽은
화면에 보이는 모든 이미지 요소와 연관된 부품으로
제조 회사는 intel, nvidia와 amd가 있는데요

intel은 cpu안에 탑재 되는
내장 그래픽을 용도로 만들기 때문에

간단한 문서 작업 위주 노트북 (문서) 을 찾으신다면
따로 외장 그래픽 없이도
저렴하게 뽑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